📢 공지사항

최근 업데이트 : 2025년 04월 22일 기준


⚠️
 CPU 세대구분이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인텔은 i 시리즈 -> 울트라(U) 시리즈 / AMD는 라이젠 -> 라이젠 Ai로 네이밍이 변경되고 있습니다.

게대가 구형 설계공정이 적용된 리프레시 버전 CPU까지 최신 넘버링을 달고 출시하는바람에 CPU의 모델코드만 보고는 세대를 가늠하기 힘들어졌습니다.

더 직관적으로 구분하기 쉽도록 세대를 아래와 같이 조정하여 정리할테니 참고바랍니다.

구분 인텔 AMD 라이젠
✅ 최신형급
(2025~2024)
📦 고성능 게이밍 / 작업용
15세대 (U시리즈 2xx HX) (애로우레이크)
13.5세대 (i 시리즈 14xxx)
13.5세대 (i 시리즈 13x50, 13x80)

📦 경량 노트북용 저전력
15세대 (U시리즈  2xx) (루나/애로우레이크)
14세대 (U시리즈 1xx)

📦 라이젠 ZEN 5
8세대 (스트릭스 포인트 ai 3xx HX)

📦 라이젠 ZEN4 CPU들

7세대 (호크포인트 8xxx)
6.5세대 (드래곤레인지 7x45)
6세대 (피닉스 7x40)


✅ 구형이지만 현역
(2024~2022)
13세대 (i 시리즈 13x00)
12세대 (i 시리즈 12xxx)


📦 라이젠 ZEN3 ~ ZEN3+ CPU들
5.5세대 (램브란트R 7x35)
5세대 (램브란트 6xxx)
4.5세대 (바르셀로R 7x30)
❌ 구형 (2022 이전)
비추천
11세대 미만 4세대 미만

- 표에서 보이듯 라이젠 CPU의 천번째 숫자단위는 더이상 세대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RTX 5000 시리즈 탑재 노트북이 슬슬 발매되고 있습니다.

최신세대 그래픽카드는 xx90, 80, 70, 60, 50 고성능순으로 먼저 출시됩니다.

  RTX 5000 RTX 4000 RTX 3000
xx90 ❌ 발매됨 (현재 가격 너무 비쌈) ⚠️ 5080으로 대체중, 재고떨이중인 제품은 구매해도 좋음) ❌단종 / 비추천
xx80 ✅ 구매해도 좋음 (생각보다 싸게 나옴) ❌ 단종 ❌ 단종 / 비추천
xx70 ❌ 미발매 (가격안정은 하반기 예상) ✅구매해도 좋음 ❌ 단종 / 비추천
xx60 ❌  미발매 (가격안정은 하반기 예상) ✅구매해도 좋음 ✅ 재고떨이 한정 추천
xx50 ❌  미발매 (가격안정은 하반기 예상) ✅구매해도 좋음 ✅ 재고떨이 한정 추천

 

 

⚠️삼성, LG는 더 이상 게이밍 노트북을 만들지 않습니다.

삼성 갤럭시북, LG 그램과 같은 프리미엄 사무용 노트북만 출시하고있습니다.

게이밍 / 작업용 고성능 노트북은 외산(레노버 리전, ASUS ROG, MSI, HP 오멘, 빅터스 등등)을 구매하세요

 

⚠️초고가형 기종들은 이 글에서 다루지 않습니다.

델 에일리언웨어, 레이저 블레이드 시리즈, HP스펙터 등 초고가형 기종들은 이 글에서는 제외합니다.

 

⚠️Ai 노트북이란?

'ai 노트북' 이라는 문구는 마케팅용어입니다.

ai 전용 CPU라는것도 큰 의미가 없고 단순히 GPU (RTX시리즈 그래픽카드)의 급이 높을수록 ai 연산도 빨라집니다.

 

ℹ️ 노트북 종류 구분하기

 

💻게이밍 / 작업용 노트북

✅ 고성능을 위해 높은 설계전력(TGP)를 가진 CPU와 RTX 그래픽카드가 탑재됨

✅ 칩셋의 성능(특히 그래픽카드)에 따라 하이엔드~엔트리 급으로 나눌 수 있음

✅ 발열을 잡고 안정적으로 고성능을 뽑아내기 위해 큰 방열판과 강력한 팬이 탑재됨

⚠️ 이로인해 무게가 무거움 / 매일 가지고다니긴 힘든 무게

ℹ️ 게임을 목적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게이밍 노트북'이라고 불릴 뿐 꼭 게임만을 위한 노트북은 아님

ℹ️ 3D 렌더링, 전문적인 수준의 영상편집 등 고사양 작업이 목적인 모든 경우에 적합

⚠️ 삼성 / LG는 게이밍노트북 시장에서 철수한 상태 (외산 외에는 대안이 없음)

 

🔍 [1.하이엔드급 성능수준 / 추천기종 바로가기]

 

🔍 [2.퍼포먼스급 성능수준 / 추천기종 바로가기]

 

🔍 [3.메인스트림급 성능수준 / 추천기종 바로가기]

 

🔍 [4.엔트리 성능수준 / 추천기종 바로가기]     

 

 

 

 

💻크리에이터 노트북

✅ 게이밍노트북과 경량 사무용 노트북의 중간성격을 가진 기종

⚠️ 좋게 말하면 휴대성과 성능 두 가지를 모두 잡은 노트북이지만 나쁘게 말하면 둘 다 애매한 기종

✅ 성능과 휴대성 어느 한쪽도 깔끔하게 포기할 수 없는 경우 선택

ℹ️ 외부 미팅이 잦은 프리랜서 영상편집자, 디자이너 등이 주 타겟 ('크리에이터북'이라고 불리는 이유)

 

🔍 [5.크리에이터북 성능수준 / 추천기종 바로가기]

 

 

 

💻경량 사무용 노트북

✅ 매일 가지고 다니며 출퇴근, 통학을 하는 직장인, 대학생들을 위해 설계된 노트북

✅ 가벼운 무게와 얇은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저발열/저전력 버전의 CPU만으로 작동

⚠️ 별도의 그래픽카드와 강력한 방열설계는 빠지므로 게이밍 노트북과 비교하면 한참 떨어지는 성능

✅ 하지만 코딩(무거운 IDE 포함) , 간단한 컷편집, 4K급 고화질 영상감상, 웹서핑, 문서작업은 여유롭게 가능

✅ 요즘은 성능이 더욱 발전하여 캐쥬얼 게임(LOL)도 충분히 플레이 가능한 수준

💵 성능보다는 무게, 배터리용량, 편의기능 등 휴대성 관련 옵션에 따라 고급형~보급형으로 나뉘고 가격이 크게 차이남

❌ 인텔/라이젠 3, 펜티엄, 셀러론 등을 탑재한 3~40만원대 저가형 기종은 추천에서 제외 (성능체감 심함 / 내구성 문제)

 

🔍 [6.경량 사무용 성능수준 / 추천기종 바로가기]

 

 

 

 

 

🚩 노트북 스펙 보는법 정리

💡 노트북 핵심 부품 및 요소

 

💡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부품 및 요소

 

💡 업그레이드 부품 구매가이드

램 / SSD  / 윈도우를 별도로 구매해 설치, 업그레이드 하실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바랍니다.

 

-> 램(RAM) 호환 정보 및 구매가이드

 

-> 저장장치 (SSD/NVME) 종류 및 구매가이드

 

-> 윈도우 별도 구매 및 설치 가이드 (라이센스 종류)

 

 

 

 

 

 

 

📊  성능수준 / 추천 기종 정리


1.게이밍/작업용 (하이엔드급) 추천기종 바로가기

 

2.게이밍/작업용 (퍼포먼스급) 추천기종 바로가기

 

3.게이밍/작업용 (메인스트림급) 추천기종 바로가기

 

4.게이밍/작업용 (엔트리급) 추천기종 바로가기

 

5.크리에이터북 추천기종 바로가기

 

6.경량사무용 노트북 추천기종 바로가기


 

 

 

 

💻 1. 게이밍/작업용 (하이엔드급)

[📦스펙 ]

CPU 인텔/라이젠 7~9 (TDP 55w 이상 고전력)
GPU RTX 5080 / 4090 (TGP 175w)
RTX 4080 (TGP 165w 이상 고전력) 이상

 

[🛠️작업성능 ]

🧊 3D 모델링 / 렌더링 ✅ 전분야 가능
🎬 영상편집 ✅ 전업수준 (4K 고화질 소스 O / 모션그래픽 O )
🧑‍💻 게임개발 ✅ 언리얼 5 수준 엔진

 

[🎮게임성능 ]

초고사양 게임
✅풀옵션 쾌적 (QHD)
발더스게이트 / 스타필드 / 호그와트 / 싸이버펑크 / 배틀필드2042
중~고사양 게임 ✅풀옵션 쾌적 (4K)
헬다이버즈2 / P의 거짓 / 배그 / GTA5 / 디아4 디아2레저렉션 / 에이펙스 / 오딘 / 로스트아트 / 검은사막 / 심즈 시리즈 (플러그인 다수 사용)
캐쥬얼 게임 ✅풀옵션 쾌적 (4K)
발로란트 / 오버워치 / LOL / 피파, PES 시리즈 / 로블록스 / 마인크래프트(바닐라) / 카트2


[ 💵가격대]

대략적인 가격 / 제조사, 윈도우, SSD, 램 확장 상태에 따라 다름

🏆고급형 기종 💵500 ~ 400 만원대 (RTX4090 / 5080)
🥈중급형 기종 💵380 ~ 350 만원대
🥉보급형 기종 ❌하이엔드급은 보급형 없음

🏆고급형~🥉보급형 차이

성능차이는 피크성능 10~20% / 스위트스팟 10%내외로 근소,

패널, 빌드퀄리티, 소재, 방열설계, 포트구성 등의 차이가 큼

 

- 노트북에 들어갈 수 있는 최고사양의 하이엔드 기종

- 모든 작업 / 게임 시 옵션타협 없는 쾌적한 QHD~4K 환경 구동 가능

 

 


📢 4090~4080급 초고가형 기종 구매 주의사항

 

⚠️FHD~QHD 환경의 일반적인 사용자들은 이 정도의 고사양까진 필요하지 않습니다.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2.게이밍/작업용 (퍼포먼스급)] 또는 [3.게이밍/작업용 (메인스트림급)] 으로 타협하길 권장합니다.


 

 

 

 

⚫쉐도우 블랙 ⚪세라믹화이트

 

 🏆고급형 - 2025 HP 신형 오멘 MAX 시리즈 

📦 인텔 U9 (15세대 275HX) + 🔥RTX5080 (17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HP의 신형 오멘 MAX 시리즈입니다.

오멘은 HP의 플래그십 라인업인데 2024년까지는 경쟁기종 ASUS ROG, 리전5급과 비교하면 살짝 아쉬운점이 있어 중급형 대장 ~ 고급형 턱걸이 쯤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종이었습니다.

 

이번엔 오멘 MAX로 리뉴얼 되면서 쿨링설계 보강(베이퍼챔버 적용, 리퀴드써멀), 패널스펙 상향(300->500니트), 포트구성이나 부수적인 칩셋버전 업그레이드 등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이제 확실히 고급형으로 분류할 수 있겠네요

 

외산 1티어 제조사들 기준 플래그십급 5080 탑재형 모델들의 출시가는 400 후반쯤 나오지 않을까 예상했습니다.

HP라면 당연히 대기업 브랜드 프리미엄이 붙어서 400 극후반~ 500초반을 예상했는데 폼팩터도 레노버, ASUS 플래그십 급으로 업스펙 되었고 가격이 생각 이상으로 저렴하게 나왔습니다. 

 

오멘시리즈야 리전5와 마찬가지로 믿을만한 스테디셀러이기도 하고 전통적인 대기업인만큼 AS접근성은 외산중 가장 좋습니다. 순정 제어 소프트웨어도 평이 좋습니다. 따로 애프터버너니 리바튜너니 G헬퍼니를 설치하고 공부할 필요가 없어  무난하게 추천하기 좋은 기종입니다.

 

 

 

 🏆고급형 -  2025 레노버 리전 7 시리즈 

📦 인텔 U9 (15세대 275HX) + 🔥RTX5080 (17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HDR 등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2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2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신형 리전 7 추가설명]

리전5의 상위 폼팩터입니다. (전원부, 쿨링팬, 히트씽크(베이퍼챔버), 포트보강 등등)

RTX xx80 ~ xx90급 칩이 들어가는 하이엔드 사양은 리전 7 시리즈만 발매합니다.

 

[리전 시리즈 소개]

믿고사는 베스트셀러, 레노버 플래그십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경량 사무용 노트북에서는 삼성 갤럭시북, LG 그램을 높게 쳐주듯이 게이밍 노트북 쪽에서는 레노버 리전시리즈와 ASUS ROG(strix) 시리즈가 독보적인 1티어 시리즈입니다.

(아무리 외산에대한 선입견이 있더라도 이부분은 인정해야합니다. 게이밍/고전력 노트북 분야에서 삼성/LG는 거의 철수했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단순히 '성능' 대비 가격대를 생각하고 원가 절감형 기종들과 비교하면 가성비가 떨어져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장재의 질감이나 마감 수준, 패널스펙, 편의성(포트 위치 및 구성 등), 그래픽카드 TGP, 쿨링설계의 수준, 마감, 배터리 등등 부가적인 모든면에서 아쉬운점이 없습니다.

성능뿐만 아니라 제품의 완성도까지 고려한 가성비를 생각한다면 가장 추천하는 기종입니다.

덧붙여, 요란하지 않고 깔끔한 외관도 상당한 장점이라고 생각됩니다. 주변에 추천 혹은 선물을 했을 때 호불호 없이 누구나 만족할만한 기종입니다.

 

 

 

 🏆🏆 최상위 폼팩터 - 2025 ASUS ROG SCAR 시리즈 

📦 인텔 U9 (15세대 275HX) + 🔥RTX5080 (17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1200니트, 색영역 dci-p3 100%, 미니led 패널

18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ASUS의 플래그십 ROG 시리즈의 상위호환 ROG SCAR 시리즈입니다.

경쟁 제조사인 레노버와 비교하면 일반 ROG시리즈가 리전5과 대응하는 포지션이고, SCAR는 리전7 이상의 최상위 폼팩터라고 보면 됩니다.

 

노트북용 그래픽카드는 가장 비싼 상위 라인업부터 신제품이 나옵니다.

퍼포먼스~엔트리급의 5070, 5060 탑재 노트북은 하반기쯤 되야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성능은 RTX4080은 찍어 누르는 수준이고 4090과 비교해야 맞습니다.

4090 대비 쿠다코어는 약 10%정도 더 많이 들어가고 VRAM은 같은 용량이지만 GDDR6에서 GDDR7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지금 2024년형 4090 노트북 재고들도 400 중후반대 가격은 형성하고 있는데, CPU도 공정이 개선된 완전한 15세대 애로우레이크가 올라가고(저전력 H, U, V 버전이 아닌 고전력 HX) 폼팩터의 빌드퀄리티나 패널 스펙(무려 미니led 패널)등을 고려하면 가격이 진짜 괜찮습니다.

 

이성적으로 비교해서 따져보면 괜찮은데.. 아무래도 백만단위 숫자가 5라는데서 오는 심리적 저항은 어쩔수가 없네요

그래도 희망회로를 돌려보자면 게이밍 노트북들은 그래픽칩셋 품귀 현상 때문에 구형 제품들까지 더 비싸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특히나 수출제한까지 걸면서 전략물자 취급받는 RTX **80~90 칩셋이 들어간 기종이라면 오히려 나오자마자 사는게 제일 쌀지 모르겠습니다.

 

 




 🏆고급형 -  2024 기가바이트 어로스 X 시리즈 (17인치형) 

📦 인텔 i9 (13.5세대 14900HX) + 🔥RTX4090 (17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dci-p3 100%, 팬톤 인증

17인치 / 램 32g / SSD 2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7인치 / 램 32g / SSD 2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기가바이트의 어로스 X 시리즈입니다.

몇년 전만해도 3대 게이밍 노트북 제조사처럼 활발하게 제품을 내놓던 브랜드였는데 최근 좀 뜸해진 브랜드가 아닐까 싶습니다.

 

레노버의 '리전' ASUS의 'ROG' 같이 네임드 라인업을 꾸준히 발매하며 밀어주는 제품들과 비교해보면 디자인이나 소재의 고급스러움, 마감같은 부분이 다소 떨어집니다.

 

하지만 가격대는 더 저렴하고 성능이나 안정성과 직결되는 내부 기판 퀄리티는 믿을만합니다.

제조사가 가장 크게 관여하는 부분은 바디 및 메인보드 설계라고 할 수 있는데

기가바이트는 데스크탑 메인보드 분야에서 확실한 1티어급 이라고 할 수 있을만큼 인지도와 신뢰성이 높은 제조사입니다.

 

 

💻 2. 게이밍/작업용 (퍼포먼스급)

[📦스펙 ]

CPU 인텔/라이젠 7~9 (TDP 45w 이상 고전력)
GPU RTX **70 (TGP120~140w 고전력)

 

[🛠️작업성능 ]

🧊 3D 모델링 / 렌더링 ✅ 전분야 가능
🎬 영상편집 ✅ 전업수준 (4K 고화질 소스 O / 모션그래픽 O )
🧑‍💻 게임개발 ✅ 언리얼 5 수준 엔진

 

[🎮게임성능 ]

초고사양 게임
✅풀옵션 쾌적 (QHD)
발더스게이트 / 스타필드 / 호그와트 / 싸이버펑크 / 배틀필드2042
중~고사양 게임 ✅풀옵션 쾌적 (QHD)
헬다이버즈2 / P의 거짓 / 배그 / GTA5 / 디아4 디아2레저렉션 / 에이펙스 / 오딘 / 로스트아트 / 검은사막 / 심즈 시리즈 (플러그인 다수 사용)
캐쥬얼 게임 ✅풀옵션 쾌적 (4K)
발로란트 / 오버워치 / LOL / 피파, PES 시리즈 / 로블록스 / 마인크래프트(바닐라) / 카트2


[ 💵가격대]

대략적인 가격 / 제조사, 윈도우, SSD, 램 확장 상태에 따라 다름

🏆고급형 기종 💵300 ~ 250 만원대
🥈중급형 기종 💵250 ~ 180 만원대
🥉보급형 기종 💵180 ~ 160 만원대

🏆고급형~🥉보급형 차이

성능차이는 피크성능 10~20% / 스위트스팟 10% 내외로 근소,

패널, 빌드퀄리티, 소재, 방열설계, 포트구성 등의 차이가 큼

 

- 현업 전문가 수준의 영상편집, 모델링 등 작업 쾌적하게 가능

- 모든 게임 쾌적하게 플레이 가능, 초고사양 AAA급 신작게임도 옵션 최적화시 쾌적

- 300~400만원대의 하이엔드급을 제외하고 현실적인 가격대의 노트북 범위에서는 최상급 스펙

 

 


 🏆 고급형 -
  2025 ASUS ROG strix 시리즈 

 📦 라이젠 R9 (8세대 9955HX3D) + RTX5070ti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6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ASUS의 플래그십 고성능 노트북입니다.

오랜기간 꾸준하게 발매된 기종으로 대장급 인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경량 사무용 노트북에서는 삼성 갤럭시북, LG 그램을 높게 쳐주듯이 게이밍 노트북 쪽에서는 레노버 리전시리즈와 ASUS ROG(strix) 시리즈가 독보적인 1티어 시리즈입니다.

(아무리 외산에대한 선입견이 있더라도 이부분은 인정해야합니다. 게이밍/고전력 노트북 분야에서 삼성/LG는 거의 철수했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성능뿐만 아니라 제품의 완성도까지 고려한 가성비를 생각한다면 가장 추천하는 기종입니다.

누가봐도 '게이밍 노트북이다' 싶은 외형이 부담스럽다면 레노버 리전 시리즈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고급형 -  2024 기가바이트 어로스 X 시리즈 

📦 인텔 i9 (13.5세대 14900HX) + RTX407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팬톤 인증

16인치 / 램 32g / SSD 2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2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i7 (13.5세대 14650HX) + RTX407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팬톤 인증

16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기가바이트의 어로스 X 시리즈입니다.

몇년 전만해도 3대 게이밍 노트북 제조사처럼 활발하게 제품을 내놓던 브랜드였는데 최근 좀 뜸해진 브랜드가 아닐까 싶습니다.

 

레노버의 '리전' ASUS의 'ROG' 같이 네임드 라인업을 꾸준히 발매하며 밀어주는 제품들과 비교해보면 디자인이나 소재의 고급스러움, 마감같은 부분이 다소 떨어집니다.

 

하지만 가격대는 더 저렴하고 성능이나 안정성과 직결되는 내부 기판 퀄리티는 믿을만합니다.

제조사가 가장 크게 관여하는 부분은 바디 및 메인보드 설계라고 할 수 있는데

기가바이트는 데스크탑 메인보드 분야에서 확실한 1티어급 이라고 할 수 있을만큼 인지도와 신뢰성이 높은 제조사입니다.

 


 

🥈~🏆 중~고급형  -  2024 MSI 알파 시리즈 

📦 라이젠 R9 (6.5세대 7945HX) + RTX407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7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가성비!

17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7인치 / 램 16g / SSD 2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MSI의 플래그십급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표기는 2023년형이지만 현재 가장 현역인 ZEN4 아키텍쳐 CPU인 7945HX 탑재형입니다.

최근 CPU 제조사들이 공정이나 아키텍쳐도 그대로면서 앞자리 숫자만 갈아서 최신세대 CPU라며 발매를 하고 있습니다.

일단은 7세대로 표기하는 8xxx 넘버링의 CPU들도 똑같은 ZEN4 아키텍쳐 우려먹기기 때문에 그냥 2024년형 CPU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MSI는 사이보그, 스워드, 스워드 피쉬, 벡터 등등 라인업을 난잡하게 만들어놔서 자세히 살펴봐야하는데 세부 스펙사양표를 보고 판단해보면(배터리, 포트구성, wifi/블루투스 칩셋버전 등) 플래그십급 모델입니다. 

 

고급형으로 분류해도 무방하긴 하지만 1티어인 레노버(리전) / ASUS(ROG) /HP(오멘) 보다는 떨어지는 1.5티어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 MSI 특유의 중국 취향의 디자인이나 소재에서 오는 느낌이 비교적 저렴해보일 수 있다는점을 고려하여여 중급형급으로 구분해놓았습니다.

 

 




 🥈~🏆 중~고급형
 - 
  2025 HP 오멘 시리즈 

📦 인텔 i9 (13.5세대 14900HX) + RTX407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중~고급형 -   2024 HP 오멘 시리즈 

📦 인텔 i7 (13.5세대 14700HX) + RTX407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HP의 플래그십 게이밍 노트북 오멘 시리즈입니다.

보급형인 빅터스 시리즈와 비교해보면 확실히 우수한 빌드퀄리티를 보여줍니다.

가격대나 포지션 자체는 레노버의 리전5, ASUS rog 시리즈와 동급입니다.

물론 가성비로 밀어붙이는 리전, ROG 시리즈와 비교해보면 하다못해 소재의 알루미늄 비중이라던가 패널의 스펙, RGB 요소 등 부분에서 살짝 아쉽긴 합니다.

 

대신 삼성, LG가 게이밍 노트북에서 철수한 현 시점에서, 안정성, 신뢰성, AS 측면을 고려해 '믿을만한 대기업' 제품을 원하시는 분들에게는 유일한 선택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스프트웨어 측면에서도 팬 속도, 논옵티머스 모드(내장그래픽 off) 등을 설정을 제어하는 게이밍 허브도 완성도가 좋은 편이고 초보자에게도 친숙해 평이 좋습니다.

윈도우 설치 및 설정이나 언더클럭/볼팅과 같은 추가적인 셋팅 등등 복잡한 과정 없이 그냥 바로 전원넣고 쓰기 좋은 모델입니다.

근본있는 '글로벌 대기업' 답게 믿을만한 직영 센터도 많이 깔려있고 꽤 유도리있고 관대한 AS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중급형 - 2025 MSI GF시리즈 

📦 라이젠 R9 (7세대 8945HS)   RTX4070 (10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dci P3 100%

17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가성비

 

[추가설명]

MSI의 가성비 GF 시리즈입니다.

GF 시리즈는 패널이나 그래픽카드의 TGP 수준에 따라 굉장히 많은 세부모델이 있습니다.

가격대가 굉장히 저렴하긴 하지만 TGP를 거의 반토막 내놓거나 도저히 못쓸정도의 패널이 들어간 버전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합니다.

해당 기종은 패널도 dci p3 색영영 100%를 만족하는 꽤 좋은 패널이 들어가있고 TGP도 MUXED 스위치를 지원하는 105w급으로 실 사용 환경에서 크게 손해를 보는 수준은 아닙니다.

어차피 요즘 게이밍 노트북들은 TGP를 한계치까지 셋팅해서 쓰는 경우가 잘 없고 전력소모량을 80~100w 선으로 제한하여 딱 최고효율을 뽑을 수 있는 구간까지만 사용하도록 셋팅하고 쓰는게 정석입니다.

 

 

 



 

 🥈중급형 -  2024 ASUS TUF 게이밍 시리즈 

📦 인텔 i7 (13세대 13620H)  RTX4070 (140w)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250니트, 색영역 SRGB 100%

17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가성비

17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7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ASUS의 가성비형 게이밍 노트북 TUF 시리즈입니다.

같은 ASUS의 플래그십 모델인 ROG시리즈와 확실한 급 나누기가 되어야 했던 기종이지만 너무 잘뽑혀나와서 팀킬이라는 말까지 나오는 기종입니다.

그래픽카드의 TGP 차이도 없고 보급형에서는 일부로 빼버리는 기능인 MUXED 기능(내장그래픽 OFF 기능)까지 넣어줬습니다.

결론적으로 '성능' 부분에서는 동급의 고급형 라인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물론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급 차이가 없는것은 아닙니다.

특히 RTX 4070 이상급 그래픽카드가 탑재된 기종이라면 전원부 보강이나 쿨링설계를 생각해서 ROG 시리즈로 가는게 맞습니다.

더불어 패널, RGB요소, 마감 및 소재 등등 디테일한 부분까지 생각한다면 확실히 플래그십 모델쪽이 우수합니다. 

이런 부분까지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면 저렴한 가격이 모든걸 용서하게 만드는 가성비형 기종입니다.

 

 

 

 


 

 

 

 

 

💻 3. 게이밍/작업용 (메인스트림급)

[📦스펙 ]

CPU 인텔/라이젠 7~9 (TDP 45w 이상 고전력)
GPU RTX **60 (TGP120~140w 고전력)

 

[🛠️작업성능 ]

🧊 3D 모델링 / 렌더링 ✅ 전분야 가능 (캐릭터, 인테리어, 조감도 등 복잡한 디자인 가능)
🎬 영상편집 ✅ 전업수준 (4K 고화질 소스 O / 모션그래픽 O )
🧑‍💻 게임개발 ⚠️ 언리얼 3~4 수준 엔진

 

[🎮게임성능 ]

초고사양 게임
⚠️옵션타협 필요
발더스게이트 / 스타필드 / 호그와트 / 싸이버펑크 / 배틀필드2042
중~고사양 게임 ✅풀옵션 쾌적 (FHD)
헬다이버즈2 / P의 거짓 / 배그 / GTA5 / 디아4 디아2레저렉션 / 에이펙스 / 오딘 / 로스트아트 / 검은사막 / 심즈 시리즈 (플러그인 다수 사용)
캐쥬얼 게임 ✅풀옵션 쾌적 (QHD~4K)
발로란트 / 오버워치 / LOL / 피파, PES 시리즈 / 로블록스 / 마인크래프트(바닐라) / 카트2

 

[ 💵가격대]

대략적인 가격 / 제조사, 윈도우, SSD, 램 확장 상태에 따라 다름

🏆고급형 기종 💵220 ~ 160 만원대
🥈중급형 기종 💵160 ~ 130 만원대
🥉보급형 기종 💵130 ~ 110 만원대

🏆고급형~🥉보급형 차이

성능차이는 피크성능 10~20% / 스위트스팟 10%내외로 근소,

패널, 빌드퀄리티, 소재, 방열설계, 포트구성 등의 차이가 큼

 

- 고사양게임, 3D, 영상편집 등 각종 작업툴 등등 용도와 수준을 불문하고 무난하게 입문 가능한 수준입니다.

- FHD 환경이라면 왠만한 게임은 모두 쾌적하게 가능 / 최신 고사양게임도 옵션타협만 하면 가능

- 영상편집, 3D 모델링, 렌더링 등 모든 작업 무난하게 가능한 수준

 



 

 🏆 고급형 -  2024 ACER 프레데터 헬리오스 네오 

📦 인텔 i9 (13.5세대 14900HX)+ RTX406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6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가성비!!!!

16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i5 (13.5세대 14500HX)+ RTX406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가성비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ACER의 플래그십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전반적인 스펙 수준, 빌드퀄리티는 리전5, ROG 시리즈와 동급입니다.

현재 HP / ASUS / 레노버에 비하면 인지도가 많이 떨어지지만 한때는 가장 점유율이 높던 브랜드입니다.

약 20년전에 한국 지사장의 횡령 이슈..... 때문에 한국시장에서 완전 철수한적이 있는데 이때 AS 관련해서 잡음이 있었습니다.

이때 박힌 미운털 때문에 아직까지도 과하게 저평가되고있는 브랜드입니다. 그래서 가격대는 ASUS나 레노버같은 제조사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지금은 삼성 엘지를 제외하면 가장 서비스망이 넓은 한성컴퓨터와 AS 위탁계약을 체결했기 때문에 접근성은 다른 외산 브랜드보다 더 괜찮습니다.

솔직히 AS가 아예 없다고 생각하고 봐도 괜찮은 가격대가 아닐까 싶습니다.

 

 

 

 

 

 

 🏆 고급형 -  2024 ASUS ROG strix 시리즈 

 📦 인텔 i9 (13.5세대 13980HX) + RTX406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6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2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2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ASUS의 플래그십 고성능 노트북입니다.

오랜기간 꾸준하게 발매된 기종으로 대장급 인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경량 사무용 노트북에서는 삼성 갤럭시북, LG 그램을 높게 쳐주듯이 게이밍 노트북 쪽에서는 레노버 리전시리즈와 ASUS ROG(strix) 시리즈가 독보적인 1티어 시리즈입니다.

(아무리 외산에대한 선입견이 있더라도 이부분은 인정해야합니다. 게이밍/고전력 노트북 분야에서 삼성/LG는 거의 철수했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성능뿐만 아니라 제품의 완성도까지 고려한 가성비를 생각한다면 가장 추천하는 기종입니다.

누가봐도 '게이밍 노트북이다' 싶은 외형이 부담스럽다면 레노버 리전 시리즈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 고급형 -  2024 레노버 리전5 시리즈 

📦 라이젠 R7 (6.5세대 7745HX) + RTX406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HDR

16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7745HX >> 88xxHS 입니다. (똑같은 라이젠 ZEN4 아키텍쳐)

표기는 2023년형으로 되어있지만 사실상 2024년형입니다.

 

📦 인텔 i7 (13.5세대 14650HX)+ RTX406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HDR

16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2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믿고사는 베스트셀러, 레노버의 리전 시리즈입니다.

경량 사무용 노트북에서는 삼성 갤럭시북, LG 그램을 높게 쳐주듯이 게이밍 노트북 쪽에서는 레노버 리전시리즈와 ASUS ROG(strix) 시리즈가 독보적인 1티어 시리즈입니다.

(아무리 외산에대한 선입견이 있더라도 이부분은 인정해야합니다. 게이밍/고전력 노트북 분야에서 삼성/LG는 거의 철수했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단순히 '성능' 대비 가격대를 생각하고 원가 절감형 기종들과 비교하면 가성비가 떨어져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장재의 질감이나 마감 수준, 패널스펙, 편의성(포트 위치 및 구성 등), 그래픽카드 TGP, 쿨링설계의 수준, 마감, 배터리 등등 부가적인 모든면에서 아쉬운점이 없습니다.

성능뿐만 아니라 제품의 완성도까지 고려한 가성비를 생각한다면 가장 추천하는 기종입니다.

덧붙여, 요란하지 않고 깔끔한 외관도 상당한 장점이라고 생각됩니다. 주변에 추천 혹은 선물을 했을 때 호불호 없이 누구나 만족할만한 기종입니다.

 

 

 

 

 


 🏆 고급형 -
  2024 기가바이트 어로스 X 시리즈

📦 인텔 i7 (13.5세대 14650HX) + RTX406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기가바이트의 어로스 X 시리즈입니다.

몇년 전만해도 3대 게이밍 노트북 제조사처럼 활발하게 제품을 내놓던 브랜드였는데 최근 좀 뜸해진 브랜드가 아닐까 싶습니다.

 

레노버의 '리전' ASUS의 'ROG' 같이 네임드 라인업을 꾸준히 발매하며 밀어주는 제품들과 비교해보면 디자인이나 소재의 고급스러움, 마감같은 부분이 다소 떨어집니다.

 

하지만 가격대는 더 저렴하고 성능이나 안정성과 직결되는 내부 기판 퀄리티는 믿을만합니다.

제조사가 가장 크게 관여하는 부분은 바디 및 메인보드 설계라고 할 수 있는데

기가바이트는 데스크탑 메인보드 분야에서 확실한 1티어급 이라고 할 수 있을만큼 인지도와 신뢰성이 높은 제조사입니다.

 

 


 

 

 

 🥈~🏆  중~고급형 -  2024년형 HP 오멘 시리즈 

📦 라이젠 R7 (6세대 7840HS) + RTX406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1.5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2.5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i9 (13세대 13900HX) + RTX4060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i7 (13세대 13700HX)  RTX4060 (140w)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2023년식이라고 표기된 제품도 있지만 그냥 무시하세요

CPU 세대를 기준으로 23/24년식을 구분하는게 실성능에 더 가깝습니다. (8xxx, 7xxx 모두 ZEN4 아키텍쳐)

상품명과 2022년형(MUXED 미지원, 상판에 다이아몬드 로고가 들어간 단종버전) 이미지는 그냥 무시하세요

 

[추가설명]

HP의 플래그십 게이밍 노트북 오멘 시리즈입니다.

보급형인 빅터스 시리즈와 비교해보면 확실히 우수한 빌드퀄리티를 보여줍니다.

가격대나 포지션 자체는 레노버의 리전5, ASUS rog 시리즈와 동급입니다.

물론 가성비로 밀어붙이는 리전, ROG 시리즈와 비교해보면 하다못해 소재의 알루미늄 비중이라던가 패널의 스펙, RGB 요소 등 부분에서 살짝 아쉽긴 합니다.

 

대신 삼성, LG가 게이밍 노트북에서 철수한 현 시점에서, 안정성, 신뢰성, AS 측면을 고려해 '믿을만한 대기업' 제품을 원하시는 분들에게는 유일한 선택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스프트웨어 측면에서도 팬 속도, 논옵티머스 모드(내장그래픽 off) 등을 설정을 제어하는 게이밍 허브도 완성도가 좋은 편이고 초보자에게도 친숙해 평이 좋습니다.

윈도우 설치 및 설정이나 언더클럭/볼팅과 같은 추가적인 셋팅 등등 복잡한 과정 없이 그냥 바로 전원넣고 쓰기 좋은 모델입니다.

근본있는 '글로벌 대기업' 답게 믿을만한 직영 센터도 많이 깔려있고 꽤 유도리있고 관대한 AS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중~고급형 -  2024 레노버 리전5 (구형 리프레쉬) 

📦 인텔 i7 (13세대 13650HX) + RTX4060 (140w)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5인치 / 램 24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24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레노버 리전5 시리즈의 이전 세대 바디 (16:9비율 15인치형 인텔 10~12세대 시절 사용되던 폼팩터)를 그대로 활용하고

내부 칩셋 사양만 13세대 + RTX40 시리즈 구성으로 리뉴얼한 기종입니다.

 

성능과 직결되는 부분의 빌드퀄리티는 신형 폼팩터와 크게 다른점이 없습니다.

(풀커버 방열판, 전원부 보강, 최대 수준의 TGP설계, MUXED 기능 등등)

 

신형 폼팩터(위쪽 🏆고급형 - 레노버 리전 5 시리즈 참고)와 비교하면 패널스펙(해상도, 색영역, 최대밝기) / 배터리 용량 / USB포트의 버전 등 부가적인 스펙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CPU 세대가 한 세대 차이가 나긴 하지만 가격은 20~30% 더 저렴해져 100만원 초중반대 까지 내려옵니다.

신형 기종의 가격이 부담스럽다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듯 합니다.

 

 

 

 

 

 


 🥈중급형 -  2024 ASUS TUF 게이밍 시리즈 

📦 인텔 i7 (13세대 13650HX) + RTX406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라이젠 R7 (7세대 8845HS) + RTX4060 (14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ASUS의 가성비형 게이밍 노트북 TUF 시리즈입니다.

같은 ASUS의 플래그십 모델인 ROG시리즈와 확실한 급 나누기가 되어야 했던 기종이지만 너무 잘뽑혀나와서 팀킬이라는 말까지 나오는 기종입니다.

그래픽카드의 TGP 차이도 없고 보급형에서는 일부로 빼버리는 기능인 MUXED 기능(내장그래픽 OFF 기능)까지 넣어줬습니다.

결론적으로 '성능' 부분에서는 동급의 고급형 라인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물론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급 차이가 없는것은 아닙니다.

특히 RTX 4070 이상급 그래픽카드가 탑재된 기종이라면 전원부 보강이나 쿨링설계를 생각해서 ROG 시리즈로 가는게 맞습니다.

더불어 패널, RGB요소, 마감 및 소재 등등 디테일한 부분까지 생각한다면 확실히 플래그십 모델쪽이 우수합니다. 

이런 부분까지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면 저렴한 가격이 모든걸 용서하게 만드는 가성비형 기종입니다.

 

 


크리미화이트 ⚪ 블랙 ⚫


 🥉보급형 -  2025 HP 빅터스 (16인치 신형 폼팩터) 

📦 인텔 i5 (13.5세대 14450HX) + RTX4060 (120w)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보급형 -  2024 HP 빅터스 (16인치 신형 폼팩터) 

📦 라이젠 R5 (7세대 8645HS) + RTX4060 (120w)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HP의 가성비형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플래그십 오멘 시리즈보다 TGP가 살짝 낮고 전원부 보강, 방열설계, 소재, 마감 등 빌드퀄리티 차이가 꽤 있습니다.

그래도 리뉴얼된 16인치형 모델은 패널스펙이 동급으로 업그레이드 되었고 드디어 MUXED (내장그래픽카드 off 기능)까지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RTX 4070급 GPU 구성이라면 그냥 고급형 모델을 권장하겠지만 4050~4060 수준의 스펙에서는 큰 체감차이가 없습니다.

 

 

 

 🥉 보급형 - 2024 레노버 LOQ 시리즈 

📦 라이젠 R7 (5.5세대 7435HS) + RTX4060 (115w)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5인치 / 램 12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가성비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가성비

15인치 / 램 12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가성비

 

[추가설명]

레노버의 가성비형 LOQ 시리즈입니다.

플래그쉽 리전5 시리즈와 비교하면 빌드퀄리티 부분에서 아쉬운점이 많습니다.

특히 열배출구 설계나 방열판 구성을 살펴보면 고급형 기동들 대비 확실히 부실합니다.그래도 풀로드로 혹사시키는 환경이 아니라 적당히 스위트스팟 구간에서 사용한다면 성능차이는 소소합니다.

무엇보다 같은 레노버의 고급형 모델인 리전5 대비 거의 절반수준의 가격입니다.

 


 

 

 

 

 

💻 4. 게이밍/작업용 (엔트리급)

[📦스펙 ]

CPU 인텔/라이젠 5~7 (TDP 35w 이상)
GPU RTX4060 (85w~105w) 또는
RTX3060 (~ 140w) 또는
RTX4050 (85w~130w)

 

[🛠️작업성능 ]

🧊 3D 모델링 / 렌더링 ⚠️ 산업디자인, 선반, 도면 등 단순한 종류 가능
🎬 영상편집 ⚠️ FHD급 소스 쾌적 ( 모션그래픽 △ )
🧑‍💻 게임개발 ❌ 제한적 가능 (유니티 저사양 ~ 캐쥬얼 게임)

 

[🎮게임성능 ]

초고사양 게임
❌쾌적한 플레이 불가능
발더스게이트 / 스타필드 / 호그와트 / 싸이버펑크 / 배틀필드2042
중~고사양 게임 ⚠️옵션타협 필요
헬다이버즈2 / P의 거짓 / 배그 / GTA5 / 디아4 디아2레저렉션 / 에이펙스 / 오딘 / 로스트아트 / 검은사막 / 심즈 시리즈 (플러그인 다수 사용)
캐쥬얼 게임 ✅풀옵션 쾌적 (QHD)
발로란트 / 오버워치 / LOL / 피파, PES 시리즈 / 로블록스 / 마인크래프트(바닐라) / 카트2


[ 💵가격대]

대략적인 가격 / 제조사, 윈도우, SSD, 램 확장 상태에 따라 다름

🏆고급형 기종 ❌엔트리급은 고급형 기종 없음
🥈중급형 기종 💵120 ~ 100 만원대
🥉보급형 기종 💵100 ~ 80 만원대

🏆고급형~🥉보급형 차이

성능차이는 피크성능 10~20% / 스위트스팟 10%내외로 근소,

패널, 빌드퀄리티, 소재, 방열설계, 포트구성 등의 차이가 큼

 

- 고성능(게이밍/작업용) 노트북 중 최소스펙에 해당하는 엔트리급

- 이제 배그 수준의 게임은 옵션타협 후 쾌적하게 가능한 수준 (국민옵션 기준 100프레임 이상 방어)

- 복잡성이 낮은 작업 전문적인 수준까지 가능 (산업디자인, 단순 도면 분야 등)

- 복잡성이 높은 작업은 다소 힘듬 (캐릭터 디자인, 조감도 등 광원/ 레이어/ 오브젝트가 복잡한 작업)

 

⚠️주의) 딱 10~20만원만 더 보태면 가성비형 [3.게이밍/작업용 (메인스트림)]급 기종 구매가 가능합니다.

 

 


 

⚠️
메인스트림급(RTX4060) 중~보급형 기종들의 가격이 많이 내려왔습니다.

현재 엔트리급은 가격적으로 메리트가 떨어지니 주의 바랍니다.

 


 🏆 고급형 -  2025년형 HP 신형 오멘 MAX 

📦 라이젠 5 (8세대 ai340) + RTX4050 (10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고급형 -  2025년형 HP 신형 오멘 16 

📦 인텔 U5 (15세대 225H) + RTX4050 (10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오멘 MAX 추가설명]

오멘 MAX로 리뉴얼 되면서 쿨링설계 보강(베이퍼챔버 적용, 리퀴드써멀), 패널스펙 상향(300->500니트), 포트구성이나 부수적인 칩셋버전 업그레이드 등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경쟁 브랜드인 레노버의 리전시리즈, ASUS의 ROG 시리즈와 비교하면 스펙이 살짝 아쉬워 중~고급형 사이 쯤으로 분류해야만 했는데 이젠 확실히 고급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스펙입니다.

 

[추가설명]

⚠️가성비 기종은 아님

원래 엔트리급 사양으로는 잘 발매하지 않는 플래그십 모델입니다.

가성비가 우선이라면 아래쪽 빅터스 시리즈를 구매바랍니다.

 

HP의 플래그십 게이밍 노트북 오멘 시리즈입니다.

보급형인 빅터스 시리즈와 비교해보면 확실히 우수한 빌드퀄리티를 보여줍니다.

가격대나 포지션 자체는 레노버의 리전5, ASUS rog 시리즈와 동급입니다.

물론 가성비로 밀어붙이는 리전, ROG 시리즈와 비교해보면 하다못해 소재의 알루미늄 비중이라던가 패널의 스펙, RGB 요소 등 부분에서 살짝 아쉽긴 합니다.

 

대신 삼성, LG가 게이밍 노트북에서 철수한 현 시점에서, 안정성, 신뢰성, AS 측면을 고려해 '믿을만한 대기업' 제품을 원하시는 분들에게는 유일한 선택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스프트웨어 측면에서도 팬 속도, 논옵티머스 모드(내장그래픽 off) 등을 설정을 제어하는 게이밍 허브도 완성도가 좋은 편이고 초보자에게도 친숙해 평이 좋습니다.

윈도우 설치 및 설정이나 언더클럭/볼팅과 같은 추가적인 셋팅 등등 복잡한 과정 없이 그냥 바로 전원넣고 쓰기 좋은 모델입니다.

근본있는 '글로벌 대기업' 답게 믿을만한 직영 센터도 많이 깔려있고 꽤 유도리있고 관대한 AS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중급형 - 2024 ASUS TUF 게이밍 시리즈  

📦 라이젠 R7 (5.5세대 7435HS)  + RTX4050 (115w)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250니트, SRGB 100%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7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7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라이젠 R7 (5.5세대 7435HS)  + RTX3050 (85w)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250니트

15인치 / 램 8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ASUS의 가성비형 게이밍 노트북 TUF 시리즈입니다.

같은 ASUS의 플래그십 모델인 ROG시리즈와 확실한 급 나누기가 되어야 했던 기종이지만 너무 잘뽑혀나와서 팀킬이라는 말까지 나오는 기종입니다.

그래픽카드의 TGP 차이도 없고 보급형에서는 일부로 빼버리는 기능인 MUXED 기능(내장그래픽 OFF 기능)까지 넣어줬습니다.

결론적으로 '성능' 부분에서는 동급의 고급형 라인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물론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급 차이가 없는것은 아닙니다.

RTX 4070 이상급 그래픽카드가 탑재된 기종이라면 전원부 보강이나 쿨링설계를 생각해서 ROG 시리즈로 가는게 맞습니다.

뿐만 아니라 패널, RGB요소, 마감 및 소재 등등 디테일한 부분까지 생각한다면 확실히 플래그십 모델쪽이 우수합니다. 

하지만 뭐 이런 부분까지는 신경쓰지 않는다면 저렴한 가격이 모든걸 용서하게 만드는 기종입니다.

 

 

 

크리미화이트 ⚪ 블랙 ⚫

 

 🥉 보급형 - 2024 HP 빅터스 (15인치 구형폼팩터) 

📦 라이젠 R9 (7세대 8945HS) + RTX4060 (85w) (MUXED 미지원)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62.5%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 라이젠 R5 (7세대 8645HS) + RTX4060 (85w) (MUXED 미지원)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5인치 / 램 8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 라이젠 R5 (7세대 8645HS) + RTX4050 (75w) (MUXED 미지원)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5인치 / 램 8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HP의 15인치형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16인치의 신형 폼팩터와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15인치형은 MUXED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TGP가 더 낮은 보급형 기종입니다.

딱히 엄청난 고사양작업을 하는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사무용 경량 노트북을 구매하기엔 애매한 경우,

그리고 높은 수준의 빌드퀄리티보단 그냥 적당 무난하고 저렴한 게이밍 노트북이 필요하다면 추천합니다.

 

 

 



 🥉 보급형 - 2024 레노버 LOQ 시리즈 

📦 인텔 i5 (12세대 12450HX) + RTX4050 (95w)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5인치 / 램 12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레노버의 가성비형 LOQ 시리즈입니다.

플래그쉽 리전5 시리즈와 비교하면 빌드퀄리티 부분에서 아쉬운점이 많습니다.

특히 열배출구 설계나 방열판 구성을 살펴보면 고급형 기동들 대비 확실히 부실합니다.그래도 풀로드로 혹사시키는 환경이 아니라 적당히 스위트스팟 구간에서 사용한다면 성능차이는 소소합니다.

무엇보다 같은 레노버의 고급형 모델인 리전5 대비 거의 절반수준의 가격입니다.

 

 

 

 

 

 

 

 

 

💻5. 크리에이터북

[📦스펙 ]

CPU 인텔/라이젠 5~9 (TDP 35w ~45w 저전력)
GPU RTX4050 ~ 4060 (TGP60~105w )
RTX3050 ~ 3060 (TGP80~120w )


[🛠️작업성능 ]

🧊 3D 모델링 / 렌더링 ⚠️ 산업디자인, 선반, 도면 등 단순한 종류 가능
장시간 작업이 아니라면 더 복잡한 작업도 가능
🎬 영상편집 ⚠️ FHD~QHD급 소스 쾌적 ( 모션그래픽 △ )
🧑‍💻 게임개발 ❌ 제한적 가능 (유니티 저사양 ~ 캐쥬얼 게임)

 

[🎮게임성능 ]

초고사양 게임
❌쾌적한 플레이 불가능
발더스게이트 / 스타필드 / 호그와트 / 싸이버펑크 / 배틀필드2042
중~고사양 게임 ⚠️옵션타협 필요
헬다이버즈2 / P의 거짓 / 배그 / GTA5 / 디아4 디아2레저렉션 / 에이펙스 / 오딘 / 로스트아트 / 검은사막 / 심즈 시리즈 (플러그인 다수 사용)
캐쥬얼 게임 ✅풀옵션 쾌적 (QHD)
발로란트 / 오버워치 / LOL / 피파, PES 시리즈 / 로블록스 / 마인크래프트(바닐라) / 카트2

 

[ 💵가격대]

대략적인 가격 / 제조사, 윈도우, SSD, 램 확장 상태에 따라 다름

🏆고급형 기종
💵300 ~ 200 만원대
- SRGB 또는 DCI-p3 100% 패널, 고주사율 (120~240hz)
- 배터리 하루종일 사용 가능 (70~99wh)
- 썬더볼트, 키보드백라이트, 지문/안면인식 등 편의기능 다수
- 쿨링성능, 전원부 보강 (베이퍼챔버 등)
🥈중급형 기종
💵200 ~150 만원대
- SRGB 100% 패널, 고주사율 (120~165hz)
- 배터리 하루~반나절 이상 사용 가능 (70~90wh)
- 일부 편의기능 (기종마다 상이)
- 준수한 쿨링성능
🥉보급형 기종
💵150 ~100 만원대
- SRGB 62 ~ 100% 패널 (120~144hz)
- 배터리 반나절사용 가능 (40~60wh)

⚠️ 폼팩터의 급에 따라 가격차이 심함

🏆 고급형일수록 : 무게↓ 배터리↑ 패널스펙↑ 편의기능↑ 마감↑ 소재↑

🥉 보급형일수록 : 무게↑ 배터리↓ 패널스펙↓ 편의기능↓ 마감↓ 소재↓

 

- 휴대성도 어느정도 챙기면서 메인스트림~엔트리급 게이밍 노트북 정도의 성능을 내줄 수 있는 폼팩터

- 하지만 장시간 사용 시 게이밍/작업용 노트북이 훨씬 안정적 (경량화로 인한 방열설계 차이)

- 외부에서 틈틈히 영상편집, 디자인 작업을 하는 '크리에이터'들이 많이 사용 = 패널이나 편의기능은 최상급

 

 ⚠️휴대가 목적이 아니라면 게이밍/작업용 노트북을 구매하는것이 훨씬 가성비 좋음

 

 

 

⚫이클립스 그레이 ⚪플레티넘 화이트


 🏆고급형 - 2025 ASUS rog 제피러스 시리즈 

📦 라이젠 R9 (8세대 ai370HX) + RTX4070 (10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240hz OLED

⚪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라이젠 R9 (8세대 ai370HX) + RTX4060 (10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240hz OLED

⚫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U9 (14세대 185H) + RTX4060 (10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240hz OLED

⚪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16인치 / 램 32g / SSD 2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16인치 / 램 32g / SSD 2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16인치 / 램 32g / SSD 3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고급형 - 2024 ASUS rog 제피러스 시리즈 

📦 라이젠 R7 (7세대 8845HS) + RTX4060 (10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240hz OLED

⚫14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4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4인치 / 램 32g / SSD 512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4인치 / 램 32g / SSD 512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라이젠 R7 (7세대 8845HS) + RTX4050 (9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20hz OLED

⚫14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4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ASUS의 경량형 고성능 노트북입니다.

가벼운 usb형 PD 충전기를 대신 들고다니면 주 3~4회 휴대도 무리가 없을듯 합니다.

설계전력 100w 이상의 고전력 RTX 그래픽카드가 들어갑니다.

퍼포먼스~메인스트림급 게이밍 노트북 수준의 성능은 뽑아줄 수 있습니다.

 

'크리에이터북' 이란 개념조차 제대로 없던 시절부터 꾸준히 출시되며 개선에 개선을 거친 모델입니다.

리퀴드 써멀, 트라이 팬 등 이런저런 시도를 통해 쌓은 발열설계 노하우가 많이 녹아들어가 있습니다.

무게와 성능을 둘 다 잡은 아주 이상적인 형태의 크리에이터북의 기준이 되는 제품이 아닐까 싶습니다.

 

 

 

 

 

  🏆고급형 -  2024 삼성 갤럭시북 4 울트라 (외장그래픽 탑재형) 

📦 인텔 U7 (14세대 155H) + RTX4050 (8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20%, 120hz

🖥️ 터치스크린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2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U9 (14세대 185H) + RTX4070 (8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20%, 120hz

🖥️ 터치스크린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64g / SSD 2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삼성의 플래그십 갤럭시북 '프로' 시리즈의 외장그래픽 탑재형입니다.

외산 크리에이터북과 마찬가지로 100w에 근접하는 고전력 RTX 그래픽카드를 집어넣고 폼팩터도 이에 맞는 수준으로 새롭게 설계한 기종입니다.

 

경쟁제품인 LG 그램시리즈의 경우 기존 경량형 폼팩터에 35w 수준의 초저전력 RTX 그래픽을 집어넣어 반쪽짜리 크리에터북 버전을 내놓고 있는데 이것과는 완전히 대비되는 모습입니다.

 

물론 가성비면에서는 외산 제품들이 더 뛰어나지만 AS 때문에라도 무조건 국산 대기업 노트북만 구매하겠다는 분들에겐 꽤 괜찮은 선택지입니다.

베이퍼챔버 방열판까지 넣어가며 꽤 진심으로 설계한 기종인만큼 외산 고급형 기종들과 동급 혹은 그 이상의 빌드퀄리티를 보여줍니다.

 



 

  🏆고급형 -  맥북 프로 

윈도우 노트북 기준 크리에이터북과 컨셉이 유사합니다.

영상편집, 디자인 작업과 같은 특정 작업에서는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과 동급 혹은 이상의 퍼포먼스를 보여줍니다.

단, 고사양 게임 / 3D 렌더링 모델링이 목적이라면 무조건 윈도우 노트북이 유리하다는점 주의바랍니다.

스펙구성별 가격대는 아래 맥북 구매가이드 '맥북 프로' 파트를 참고 바랍니다.

 

➡️[맥북 구매가이드]

 



 🥈 중급형 - 2024 레노버 리전5 슬림형  

📦 라이젠 R9 (6.5세대 7940HS) + RTX4060 (10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20hz OLED

14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 라이젠 R7 (6.5세대 7840HS) + RTX4060 (10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20hz OLED

14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4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레노버의 고급형 리전시리즈의 경령화버전입니다.

기존 리전5의 깔끔한 패밀리룩을 유지하면서 딱 두께와 무게만 압축한 느낌의 기종입니다.

말만 '슬림'인 16인치 슬림버전과는 다르게 2kg 미만대로 확실한 경량화가 이루어진 모델입니다.

가볍고 얇아질수록 쿨링능력이 떨어지는것은 다연하지만  이미 검증된 베스트셀러인

리전 시리즈가 베이스다보니 믿고 구매할만합니다.

크리에이터북 포지션을 겨냥해서 재설계한 만큼 패널도 IPS에서 OLED로 변경되었습니다.

 

 

 

 

⚫쉐도우 블랙 ⚪세라믹화이트

 

 🥈 중급형 - 2024 HP 오멘 슬림 시리즈  

📦 인텔 U9 (14세대 185H) + RTX4070 (6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20hz OLED

⚫14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4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U9 (14세대 185H) + RTX4060 (6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20hz OLED

⚪14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U7 (14세대 155H) + RTX4060 (65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20hz OLED

⚪14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4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HP의 오멘시리즈를 경량화한 크리에이터북입니다.

같은 이름의 16인치형 slim 16 시리즈도 있지만 말만 슬림이지 일반 게이밍 폼팩터와 크게 다를게 없습니다.

괜히 '슬림'이라는 단어 때문에 가격만 비싸지므로 일반 게이밍 모델을 구매하는게 나을정도입니다.

하지만 14인치형은 CPU도 경량계열 노트북용 14세대 울트라 시리즈가 들어가고 하우징 자체부터 새로 설계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1.7kg 무게까지 내려와 확실하게 경령화된 기종으로 '크리에이터북' 이라고 부를 수 있는 폼팩터입니다.

 

 

 

 

 

 🥈 중급형 - 2024 ASUS TUF 슬림형  

📦 라이젠 R7 (7세대 8845HS) + RTX4060 (10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5hz

14인치 / 램 32g / SSD 512g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 라이젠 R7 (7세대 8845HS) + RTX4050 (100w)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5hz

14인치 / 램 16g / SSD 512gb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가성비형 게이밍 노트북 TUF 시리즈의 14인치 경량형 버전입니다.

그냥 사이즈만 줄인게 아니라 플래그십 모델에서나 볼 수 있는 경첩식 바디로 재설계된 모델입니다.

외부사용이 잦은 크리에이터북 포지션을 노리고 재설계된 만큼 패널스펙도 소폭 올라갔고 상하판 소재의 질감이나 디자인도 확실히 고급스러워진 느낌이 납니다.

크리에이터북은 비싼 최상급 기종 또는 못쓸만한 퀄리티의 저가형 기종 두 가지 선택지밖에 없는 아쉬웠는데

딱 적절한 가격대와 퀄리티의 중급형 기종이 나온것같네요

 

 

 

 

 

 

 

💻6. 경량 사무용 노트북

[📦스펙 ]

CPU 인텔 / 라이젠 5~9 (TDP 25~35w 저전력)
GPU 없음 (CPU의 내장그래픽으로 구동)

 

[🛠️작업성능 ]

🧊 3D 모델링 / 렌더링 ❌불가능
🎬 영상편집 ⚠️Vlog / 자막 / 단순 컷편집은 무리없이 가능
🧑‍💻 게임개발 ❌불가능
🧑‍💻 코딩 ✅모든 IDE 구동 문제없음
🗂️ 기본작업 ✅ 엑셀(VBA) 및 문서작업, 4k 고화질 동영상/유튜브 감상, 웹서핑, 포토샵 쾌적

 

[🎮게임성능 ]

초고사양 게임
❌불가능
발더스게이트 / 스타필드 / 호그와트 / 싸이버펑크 / 배틀필드2042
중~고사양 게임 ❌불가능
헬다이버즈2 / P의 거짓 / 배그 / GTA5 / 디아4 디아2레저렉션 / 에이펙스 / 오딘 / 로스트아트 / 검은사막 / 심즈 시리즈 (플러그인 다수 사용)
캐쥬얼 게임 ⚠️옵션타협 많이 필요
발로란트 / 오버워치 / 피파, PES 시리즈

✅ 쾌적
LOL / 로블록스 / 마인크래프트 (바닐라) / 카트2

 

[ 💵가격대]

대략적인 가격 / 제조사, 윈도우, SSD, 램 확장 상태에 따라 다름

🏆고급형 기종
💵200 ~ 150 만원대
- SRGB 또는 DCI-p3 100% 패널, 고주사율 (120~144hz)
- 무게 1kg 초반대
- 배터리 하루종일 사용 가능 (60~90wh)
- 썬더볼트, 키보드백라이트, 지문/안면인식 등 편의기능 다수
🥈중급형 기종
💵150 ~80 만원대
- SRGB 62 ~ 100% 패널
- 무게 1kg 중반대
- 배터리 반나절 이상 사용 가능 (40~70wh)
- 일부 편의기능 (기종마다 상이)

🥉보급형 기종
💵80 ~ 50 만원대
- SRGB 62 ~ 100% 패널
- 무게 1kg 후반대 (휴대 마지노선)
- 배터리 반나절사용 가능 (30~50wh)

⚠️ 폼팩터의 급에 따라 가격차이 심함

🏆 고급형일수록 : 무게↓ 배터리↑ 패널스펙↑ 편의기능↑ 마감↑ 소재↑

🥉 보급형일수록 : 무게↑ 배터리↓ 패널스펙↓ 편의기능↓ 마감↓ 소재↓

 

휴대성과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설계된 기종

- 별도의 외장그래픽 없이 CPU와 CPU의 내장그래픽으로 구동

- 매일 출퇴근/통학이 가능한 가벼운 무게와 얆은 두께

- 낮은 전력소모, 발열, 긴 배터리시간

- '사무용' 스펙이지만 롤(LOL)정도의 게임, 간단한 영상편집까지 소화가 가능

 

 ⚠️휴대가 목적이 아니라면 게이밍/작업용 노트북을 구매하는것이 훨씬 가성비 좋음

 

 

 

 

화이트 ⚪ 옵시디안 블랙 ⚫

 

 🏆고급형 -  신형 그램 + 15세대 CPU (2025) 

📦 인텔 U5 (15세대 225H)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44hz

⚪16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U5 (15세대 225H)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20hz

🖥️ 360도 폴딩 가능 / OLED 터치스크린

⚪ 16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고급형 -  신형 그램+ 14세대 CPU (2024 후기형) 

📦 인텔 U5 (14세대 125H)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44hz

⚪ 16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17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중급형 -  구형 그램 + 14~13세대 CPU  (2024) 

📦 인텔 U5 (15세대 225H)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50니트, 색영역 dci-p3 99%

⚪ 15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U5 (14세대 125H)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350니트, 색영역 dci-p3 99%

⚪ 14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i5 (13세대 1340P)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50니트, 색영역 dci-p3 99%

⚪ 15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구분 특징
신형 그램 (2024~2025) 16:10 비율 QHD 해상도
+ 144hz 가변 주사율 지원
+ 화면밝기 50니트 증가 
+ RAM 클럭 소폭 상승
+ 배터리 소폭 증가 (10% 내외)
+ 터치패드 면적 증가
+ USB 포트 버전 업그레이드
구형 그램 (2023~2025) 16:9 비율 FHD(14~15인치) ~ QHD 해상도(16~17인치)
60hz 주사율
화면밝기 350니트


✅ 가격이 많이 떨어진 구형 그램도 괜찮은 선택입니다. 
단, 144hz 주사율만큼은 체감차이가 꽤 큽니다. 고주사율 모니터에 익숙한 분이라면 반드시 신형구매를 권장합니다.

⚠️ 카드할인가 반드시 확인하세요.

⚠️ 램은 교체가 불가능하므로 16gb 탑재형을 구매하세요

⚠️ SSD는 교체 가능하므로 일단 가장 저렴한 256~512gb 탑재형으로 구매하세요 (나중에 용량이 더 필요하면 따로 하이닉스 p31이나 삼성 NVME를 구매한 뒤 근처 서비스센터에서 달아달라고 하는게 훨씬 싸게 먹힙니다.)

 

 

[추가설명]

고급형 경량 노트북 시장의 선두주자 LG 그램 시리즈입니다.

다른 가성비형 물건들과 그램의 차이점, 즉 비쌀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6인치 이상 대화면 노트북이 무려 1.2kg 내외의 초경량급 무게 (휴대성 측면에서는 독보적입니다.)

- 가장 가벼움에도 불구하고 최고수준의 고용량 배터리를 탑재 (80wh / 하루종일 사용 충분)

- 우수한 패널 스펙 (정확히는 dci p3 99% = SRGB100%급 패널의 상위호환)

- QHD해상도의 16:10 화면비율 (16, 17인치만 해당, 16:9 비율보다 문서작업 유리)

- LPDDR 고대역폭램 탑재 (내장그래픽 성능에 영향을 줍니다.)

- 사무실, 회의실, 공공장소, 학교에서 사용하기 적절한 깔끔한 디자인과 마감수준

- 썬더볼트DP(회의실 모니터 연결), PD충전(카페에서 충전), 키보드 백라이트, 지문인식 등등 수 많은 디테일

- 전국 어디든 깔려있는 AS센터망

위에 나열한 장점들을 살펴보면 휴대성, 편의성, 문서작업, 사무업무, 생산성과 관련이 깊은 요소들입니다.

따라서 직장인 / 대학생(학업용)에게는 비싼만큼 확실하게 돈값을 하는 기종이고 실제로 불티나게 팔리고 있습니다.

반대로 딱히 휴대할일도 없으며 고사양 게임/작업이 주목적이라면 적합하지 않으니 용도에 맞게 구매해야합니다.

 

 

 

 

 

 

 

실버 ⚪  문스톤그레이


 🏆고급형 -
  2025 갤럭시북 5 프로 (NT9) 

📦 인텔 U7 (15세대 256V)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20%, 120hz

🖥️ OLED 터치스크린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2TB / 윈도우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U5 (15세대 226V)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20%, 120hz

🖥️ OLED 터치스크린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2TB / 윈도우O [판매사이트(클릭)] 

 

@14인치형

⚫14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O [판매사이트(클릭)] 

⚫14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O [판매사이트(클릭)] 

⚫14인치 / 램 16g / SSD 2TB / 윈도우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LG 그램과 경쟁하는 삼성의 플래그십 모델입니다.

그램과 타겟층이 같은 상품이라 전반적인 특징은 비슷합니다.

(고급패널, LPDDR 고대역폭 램, 1kg 초반대의 초경량 무게, 각종 최신규격 포트 지원, 편의기능 등)

예전에는 프리미엄 사무용 노트북 하면 LG그램이 확실히 우세했지만 3~4세대 갤럭시북 이후로는 거의 비등비등 합니다.

무게 부분에서는 16인치를 기준으로 그램이 1.2kg, 갤럭시북 프로시리즈는 1.5kg 대로 그램이 확실히 이름값을 합니다.

대신 그램은 최소 200만원대의 2in1버전 모델부터 OLED타입 터치스크린이 들어가지만 갤럭시북 프로는 전 모델에 기본으로 들어갑니다.

극한의 휴대성(무게)과 배터리가 목적이라면 그램을,

그램보단 살짝 떨어지지만 마찬가지로 최고수준인 휴대성, 배터리에 더해 패널성능(OLED)은 갤럭시북 프로를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고급형 - HP 스펙터 시리즈  

📦 인텔 U7 (14세대 155H)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20hz 주사율

🖥️ 360도 폴딩 가능 / OLED 터치스크린

14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HP의 가장 상위 라인업이자 2in1 모델인 스펙터 시리즈입니다.

엔비 x360 대비 약 1.5배 가격이지만 디자인이나 로고만 보면 얼핏 보면 비슷합니다.

하지만 배터리 용량이나 디스플레이 품질 등 자세한 부분까지 따져보면 확실히 차별화된 모델입니다.

LG 그램, 삼성 갤럭시북 프로 같은 국산 1티어 기종들보다 높은 빌드퀄리티를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대만쪽 브랜드도 2in1이 나오긴 하지만 뭔가 하나씩 빠져있는 느낌이고, 그램이나 갤럭시북의 2in1 버전은 가격대가 200만원을 넘어가니, 준수한 빌드퀄리티의 제대로된 2in1이 목적이라면 현재 가장 좋은 선택지가 될것같네요

 

 

 

 

 

 

 

🔵폰더블루 ⚪화이트 ⚫그레이


 🏆고급형 -
  ASUS 젠북 

📦 인텔 U7 (15세대 255H)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20hz, OLED

🔵14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U5 (15세대 225H)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20hz, OLED

🔵 14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고급형 -
  ASUS 젠북 S 

📦 인텔 U7 (15세대 258V)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20hz, OLED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4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4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U5 (15세대 226V)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4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20hz, OLED

⚫14인치 / 램 16g / SSD 512g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OLED 패널이 들어간 ASUS의 플래그십 경량 노트북입니다.

LG 그램, 삼성 갤럭시북 프로와 같은 컨셉의 동급 제품입니다.

외산쪽 제품들이 패널스펙만큼은 그램, 갤럭시북 시리즈보다 좋습니다.

하지만 무게나 배터리 부분에서는 살짝 뒤떨어집니다.

무게야 14인치 기준으로는 크게 체감되지 않는 차이지만 15~16인치급 크기에도 1kg 극초반대를 유지하는 기종은 그램이 유일합니다.

 

[추가설명-젠북 S 시리즈]

현 시점 가장 최고 스펙의 경량 노트북이 아닐까 싶은 젠북 시리즈입니다.

리전 7 시리즈 같은 최고급형 게이밍 노트북에나 들어가는 베이퍼챔버 방열판이 들어갑니다.

물론 게이밍 노트북만큼 커다란 방열판은 아니겠지만 일반적인 히트파이프 2~3줄이 들어가는 다른 경량 노트북보다는 발열 해소능력이 훨씬 뛰어납니다.

역대급 전성비의 루나레이크 CPU + 베이퍼 챔버 조합이라 발열 및 소음, 배터리 지속시간까지 보장되는 기종입니다.

 

 

 


 

 

 🥈중급형 -  2025 레노버 슬림5  / ⭐고급사양 

📦라이젠 R7 (8세대 ai 350)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주사율 120hz, OLED

16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U7 (15세대 240H)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주사율 120hz, OLED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U5 (15세대 210H)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주사율 120hz, OLED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중급형 -  2024 레노버 슬림5  / ⭐고급사양 

📦 라이젠 R7 (5.5세대 7735HS)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주사율 165hz , OLED

15.1인치 (16:10)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1인치 (16:10)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5.1인치 (16:10)  / 램 32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중급형 -
  2024 레노버 슬림5  / ✅기본사양 

📦 라이젠 R7 (5.5세대 7735HS)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중급형 -  2024 레노버 씽크북 7세대  / ✅기본사양 

📦 라이젠 R5 (5.5세대 7535HS)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씽크북 = 슬림5와 거의 똑같은 스펙 / 디자인만 다름

 

[추가설명]

레노버의 중급형 비지니스북 라인업입니다.

지문인식, 키보드 백라이트, PD충전 등 왠만한 옵션들은 다 들어갑니다.

가격대에 비해 빌드퀄리티, 단차 마감 등 부분도 상당히 우수하고 상하판 소재도 생각보다 고급스럽습니다.

 

똑같이 생긴 모델 중에서도 화면비나 스펙사양, CPU 사양에 따라 종류가 상당히 많습니다.

⭐고급사양 - 플래그십급 패널 / 배터리를 탑재한 버전

✅기본사양 - 패널, 배터리 옵션 기본수준의 가성비 버전

두 가지로 구분해서 정리합니다.

 

 

 

 

 🥈 중급형 - HP 2025 파빌리온 플러스 시리즈  

📦 인텔 U7 (14세대 125H)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주사율 120hz, OLED

14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U5 (14세대 125H)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주사율 120hz, OLED

14인치 / 램 16g / SSD 1tb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중급형
 - HP 2025 옴니북 시리즈 (2in1)  

📦 라이젠 5 (8세대 ai340)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500니트, 색영역 dci-p3 100%, 120hz 주사율

🖥️ 360도 폴딩 가능 / OLED 터치스크린

14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HP의 구멍나버린 중급형 라인업을 채우기 위해 나온 '플러스' 버전 파빌리온입니다.

레노버와 같은 가성비 외산 브랜드와 경쟁하기위해 똑같이 120hz 고주사율 OLED 패널을 올려놨습니다.

패널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빌드퀄리티도 일반 파빌리온 시리즈보다 확실히 상위 기종이라고 보면 됩니다.

 

현 시점에서 파빌리온 플러스 외의 다른 HP 비지니스북 라인업은 상당히 난잡한 상황입니다.

HP 15, HP G X 등등으로 표기되는 기종들은 확실한 보급형이고 프로북,엘리트북 등 원래 중~고급형 라인업에 사용되던 네이밍을 가지고 있는 제품들도 2025년 현시점을 기준으로는 보급형 스펙에 가깝습니다.

 

💡옴니북 = 파빌리온 플러스의 2in1 버전

 

 

 

 

 🥈 중급형 - ASUS 2025 비보북 S 시리즈  

📦 라이젠 5 (8세대 ai220)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144hz 주사

14인치 / 램 32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ASUS의 비보북시리즈 중 준수한 패널과 배터리가 탑재된 기종입니다.

'비보북' 이라는 이름으로 저가형 모델부터 RTX그래픽이 들어간 크리에이터북 기종까지 상당히 다양한 기종이 발매되고 있어 구분하기가 조금 골치아픕니다.

레노버의 슬림5, HP의 파빌리온 플러스급 기종들과 대응되는 옵션을 가진 모델만 추려놓겠습니다.

 

 

 

 

 

 🥈중급형 -   2023 LG 울트라 엣지 시리즈 

📦 라이젠 R5 (4.5세대 7530U)

🖥️ 패널 : QHD 해상도, 밝기 350니트, 색영역 dci-p3 99% (그램과 동일한 패널)

16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LG 그램의 염가판이라고 할 수 있는 엣지 시리즈입니다.

그램과 거의 똑같은 외관과 배터리수준 (72wh)을 자랑합니다.

무게는 16인치 기준 1.5kg 내외로 그램(1.2kg)보단 무겁지만 보급형 울트라 PC(15인치 기준 1.8kg)보단 훨씬 가벼운 준수한 무게입니다.

그램과 비교하면 전체적인 마감이나 상하판 재질, 디스플레이의 스펙부분에서 원가를 절감한 흔적이 보이긴 합니다.

정리 하자면 가격대는 그램보다 훨씬 저렴하고 배터리수준이나 무게와 같은 휴대성과 관련된 스펙은 크게 손해보지 않는 가성비 기종입니다.

 

 

 


 🥉보급형  -  2024 레노버 V 시리즈  

📦 라이젠 R5 (4.5세대 7430U)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슬림3

15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v시리즈

15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7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레노버의 가장 보급형 사무용 라인업입니다.

물론 더 저렴한 초저가형 라인업도 있긴 하지만 빌드퀄리티가 너무 심각한 기종들은 제외하고 기본은 갖춘 기종들 중에 가장 보급형 폼팩터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래도 이젠 이런 보급형 모델에도 300니트급 IPS패널이 들어가고 만듦새도 나쁘지 않습니다.

슬림3 / V 시리즈 전반적인 특징은 거의 똑같습니다 디자인 취향에 따라 선택하세요

 

 

 🥉보급형  -  2025 HP 에센셜 시리즈 

📦 인텔 U5 (15세대 225U)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15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i5 (13세대 1334U)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색영역 SRGB 100%

15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보급형  -  2024 HP 에센셜 시리즈 

📦 인텔 U5 (14세대 125H)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보급형  -  2023 HP 에센셜 시리즈 

📦 라이젠 R5 (4.5세대 7430U)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15인치 / 램 8g / SSD 256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HP의 보급형 사무용 노트북입니다.

한국에서만 Ai 관련 키워드(자비스)를 이름에 달고 출시중인데 그냥 기존부터 계속 있던 '에센셜' 시리즈입니다.

대기업 HP 제품이라는점, 디자인이 호불호없고 무난무난한것이 장점입니다.

 

 

 


 🥉보
급형  -
  2025 에이서 아스파이어 시리즈 

📦 인텔 i5 (13세대 1334U)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250니트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6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에이서의 경량 노트북 아스파이어 시리즈입니다.

딱 기본 스펙의 저렴한 가격이 장점인 사무용 노트북입니다.

 

 

 

실버 ⚪  그라파이트 ⚫

 

 🥉보급형  -  2024 삼성 갤럭시북4 (NT7) 

📦 인텔 i5 (13세대 1335U)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 인텔 i3 (13세대 1315U) 

🖥️ 패널 : FHD 해상도, 밝기 300니트

⚠️i3 / R3급 CPU 탑재형 - 정말 사무작업만 하실분만 구매

15인치 / 램 16g / SSD 256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512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보급형  -  2022 삼성 갤럭시북2 (NT5) 

📦 인텔 i5 (12세대 1235U)

🖥️ 패널 : FHD 해상도

15인치 / 램 16g / SSD 250g / 윈도우 X [판매사이트(클릭)]

15인치 / 램 16g / SSD 250g / 윈도우 O [판매사이트(클릭)]

 

[추가설명]

삼성의  중~보급형 라인업인 갤럭시북 (NT7) 입니다.

기존에 '노트북 플러스'로 판매되던 등급의 기종입니다.

네이밍을 전부다 '갤럭시북'으로 통일시켜서 헷갈리기 쉬운데 '프로(NT9)' 모델과 스펙차이가 큽니다.

프로 기종과 비교하면 패널스펙 / 배터리 용량 / 무게 / CPU의 TDP와 세대 / 소재 및 마감 등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납니다.

그래도 네이밍이 통일된 만큼 외형도 패밀리룩으로 바뀌어 모르는 사람이 보면 잘 구분하기 힘들다는게 장점이 될 수도 있겠네요

물론 외산으로 타협할 경우 훨씬 준수한 패널이 탑재된 기종을 구매하는것이 가능합니다.

 

*NT5 / NT7 차이

NT7 = 300니트 패널, 반나절~하루 사용 가능한 배터리, 1.5kg대 무게

NT5 = 250니트 패널, 반나절사용 가능한 배터리, 1.8kg대 무게(휴대 가능 마지노선 무게)

 

 

 

 

 

🚩 기타 Q&A

Q. 어떤 노트북이 제일 성능이 좋은가요? / 추천하는 노트북은 뭔가요?

A. 본문에 올려놓은 노트북 모두 '추천' 노트북입니다.

세부옵션 / 바리에이션까지 따지면 수천가지 옵션 중 합리적이지 않은 가격대의 물건을 추리고 추려서 정리했습니다.

리스트에 정리하는 기종들을 크게 둘로 나누자면 말 그대로 '성능'만 놓고 보았을때 가격대가 압도적으로 저렴한 가성비형과 성능 뿐만 아니라 마감, 빌드 퀄리티, 편의기능 등 종합적으로 고려했을때 가성비가 좋은 물건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상세설명을 참고하여 이 두가지 유형 중에 취향에 맞는 쪽으로 구매하시면 되겠습니다.

 

※ 중고노트북 구매를 추천하지 않는 이유

데스크탑의 경우 실제로 일부 부품들은 중고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CPU/램 등 사실상 반 영구적인 부품들이 특히 그렇습니다.

하지만 배터리, 케이스(외관), 모니터, GPU 등은 상대적으로 고장이 잦고 소모성을 띄는 부품들은 잘 거래되지 않거나 신중하게 따져봐야 합니다.

노트북 중고로 구매한다는것은 소모성 부품을 포함하여 모두 일괄 구매하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노트북을 잘 아는 사람도 적정 가격을 측정하기 힘들고 내구도 상태를 전혀 예측할 수 없습니다.

 

※ 예약배송상품에 관한 이야기

예약판매상품을 약 10~15만원정도 더 저렴하게 판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1차, 2차 , 3차 배송지연으로 반년이상 기다려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막상 재고가 확보되면 주문취소를 당하는 경우도 있어 권장하지 않습니다.

예약판매상품 관련질문은 받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테크인포-112'에 의해 직접 제작/ 작성된 글입니다.

이 글은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대가를 지급받습니다.

무단 수정/사용을 일체 금지하며

도용시 민, 형사상의 책임을 묻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 💻 💻 💻
💻
💻